과정정보
                    학습대상
                    입사를 앞두고 공부가 막막한 예비 간호사
똑똑한신규간호사가 되고 싶은 예비 간호사
공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는 신규 간호사
입사 2~3년 차이지만 모르는게 많다고 느끼는 감염내과 병동 간호사
프리셉터를 맡은 감염내과 병동 간호사
감염관리실에서 일하는 간호사
                    학습목표
                    병동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균들에 대해 알고 임상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팁으로 예비, 신규 간호사의 실무 적응력과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. 
신규, 경력 간호사로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감염 환자 간호를 통해 직무역량 강화를 할 수 있다.
감염관리실 경력 간호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하여 직무 역량을 강화한다.
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복잡한 절차나 방법을 쉽게 설명하여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어 자신감을 높인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시정보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회차 | 학습내용 |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회차 | 검체 채취 및 보관, 혈액배양검사(Blood culutre) 시행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회차 | Case로 보는 인플루엔자 의심 환자의 피검사와 항생제 간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회차 | Case로 보는 세균 감염 환자의 간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회차 | Case로 보는 항균제 내성균 환자의 간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회차 | Case로 보는 폐, 대장 감염 환자의 간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회차 | Case로 보는 간염, 결핵 환자의 간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회차 | Case로 보는 폐렴, CDAD, 중심정맥관 감염 환자의 간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회차 | Case로 보는 요로감염, 수두, 성병 환자의 간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9회차 | 감염 예방을 위한 손위생과 보호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0회차 | 감염관리실의 역할과 세균의 해부학적 구조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1회차 | 세균이 일으키는 질환의 특징과 예방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2회차 |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의 특징과 간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3회차 | 기생충, 프리온이 일으키는 질환의 특징과 배양검사의 종류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4회차 | 접촉으로 퍼지는 질환의 격리와 손위생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5회차 | 비말/공기 전파 질환의 격리와 마스크의 종류 및 착용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6회차 | UTI, 폐렴 간호 및 항균제 내성균의 감시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7회차 | 내시경, 분만실, 약국, 조리실의 위생 관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8회차 | 응급실, 인공신장실, 무균실, 중앙공급실, 중환자실, 재활치료실, 수치료실, 치과의 위생 관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9회차 | 소독과 멸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0회차 | 혈액 및 공기 매개 감염 노출 시 직원 관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1회차 | 의료기관의 환경 관리 |